Execution Context
lexical environment는 어디서 어떻게 코드를 작성하는 지를 판단한다.
function doSomething(){
var age = 7;
}
위 코드에서 age는 어휘면에서(lexically) doSomething()이라는 함수 안에 존재한다. 통상적으로 코드에는 한개 이상의 lexical environment가 존재하지만 모든 lexical environment가 한번에 실행되지 않는다.
코드가 실행되는 것을 도와주는 환경을 Execution Context라 한다. 이것은 현재 실행중인 코드와 그 코드가 실행되기 위해 도움을 주는 모든것들을 의미한다. Lexical environment는 여러개가 존재할 수 있지만 Execution Context는 오직 현재 실행중인 하나의 코드에만 신경을 쓴다.
Execution Context에서는 코드를 한 줄씩 실행가능한 바이트 코드로 파싱하고 메모리를 할당하고 실행한다.
다음 코드가 실행된다고 가정해 보자
var age = 7;
위 코드는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쳐서 실행이 된다
1. Tokenizing:
이 과정에서 코드는 의미를 가진 Tokens라는 조각으로 나눠진다. 위 코드의 경우 var, age, =, 7, ; 로 나눠진다.
2. Parsing:
이 과정에서 위의 Tokens 배열은 해당 원소로 이뤄진, 언어의 문법으로 이해할 수 있는 트리로 변환되며 이 트리를 AST(Abstract Syntax Tree)라 한다.
3. Code Generation:
위에서 만들어진 AST는 실행 가능한 바이트코드로 변환되며 이 실행가능한 바이트 코드는 JIT 컴파일러에 의해 최적화 된다.
따라서 Execution Context는 코드의 특정 부분이 실행되는 환경이다.
Execution Context는 두개의 종류가 있다
1. Global Execution Context(GEC)
2. Function Execution Context(FEC)
그리고 위의 두 종류는 각각 다음과 같은 두개의 Phase를 가지고 있다
1. Creation Phase
2. Execution Phase
GEC(Global Execution Context)
js코드를 실행할때면 js코드는 GEC를 생성한다.
1. Creation Phase
Creation Phase에서는 두개의 유니크한 것이 생성된다.
-window object
-this
변수: 변수가 존재 한다면 변수를 위해 메모리가 할당된다. 이 변수들은 undefined로 초기화 된다.
함수: 함수가 존재한다면 메모리에 할당한다
2. Execution Phase
여기서 코드의 실행이 시작된다. 전역 변수에 값이 할당된다.
예시:
HTML파일을 하나 만들고 그 파일에 빈 js파일을 import하자
그 후 개발자도구에서
window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this를 입력하면 다음과 같이 나온다
window === this를 하면 True가 반환된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다.
1. Glocal Execution Context는 js파일을 로딩할때 생성되면 js파일의 empty여부과 관련이 없다
2. Creation phase에서 window객체와 this가 생성된다
3. Global Execution Context에서는 window와 this가 같다
4. js 파일이 비어있으므로 Execution phase에서는 아무일도 일어나지 않았다.
예시:
만약 위의 예시에서 생성된 js파일이 다음과 같은 코드를 갖는다면
var b = "a";
function log(){
console.log(b);
}
creation phase에서
1. 전역 객체 window와 this가 생성된다
2. 변수 b와 함수 log()를 메모리에 할당한다
3. b에 undefined가 할당된다. log()함수가 메모리에 직접 배치된다.
에서
1. b에 a가 할당된다
2. 함수를 정의는 했지만 호출하지 않았으므로 function execution이 실행되지 않는다.
FEC(function execution context)
함수를 호출하면 FEC가 생성된다. FEC도 GEC와 마찬가지로 creation와 execution phase를 거친다.
FEC는 arguments라는 변수에 엑세스하는데 이 변수는 함수도 전달되는 인자들이다. 이때도 window객체와 this는 접근 가능하다. 만약 함수다 또 다른 함술 호출한다면 새로운 FEC를 생성한다. 하나의 함수는 하나의 FEC를 가지며 FEC는 각 함수에서 사용되는 변수들의 scope를 결정한다.
Hoisting
Variable hostring
. 다음과 같은 코드가 있다고 해보자
console.log(name);
var name;
이 코드의 출력은 undefined이다
만약 다른 언어로 위와 같은 코드를 작성했다면 에러가 발생하겠지만 js에서는 그렇지 않는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하는 이유는 execution context와 관련있다.
creation phase에서:
- name에 메모리가 할당된다
- name에 undefined가 할당된다
execution phase에서
- console.log(name)이 실행된다
위 과정에서 변수에 메모리가 할당되고 undefined가 할당되는 creation phase에서의 메커니즘을 variable hosting이라 한다.
*undefined는 변수가 선언은 되었지만 값이 할당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만약 다음과 같이 변수에 값을 할당했다면 execution phase에서 해당 값이 변수에 할당될것이다.
name = 'a';
Function hoistring
Function hoisting역시 variable hoisting과 같은 절차를 밟는다. Creation phase에서 함수의 선언을 메모리에 넣고 execution phase에서 실행한다.
funcA();
function functionA(){
console.log('Function A');
functionB();
}
function functionB(){
console.log('Function B');
}
출력:
Function A
Function B
위 코드는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동작한다:
1. execution context가 funcA()를 위한 메모리를 생성하고 함수의 선언을 메모리에 넣는다.
2. funcA()는 자신만의 execution context를 생성하고 이때문에 functionB()에도 비슷할 일이 발생한다
3. 각자 자신의 execution context에서 실행된다
따라서 함수 정의 전체를 creation phase에서 메모리의 맨 앞에 넣는 것을 function hoisting이라 한다.
만약 함수를 변수에 할당한다고 해보자 사용한다고 해보자
log();
var log = function(){
console.log("log");
}
위와 같은 코드를 작성할 경우 에러가 발생하게 된다
이와 같은 에러가 발생하는 이유는 변수에 함수를 할당했기 때문이다
위 코드에서 log는 변수로 호이스팅되기 때문에 undefined를 creation phase에서 할당받게 된다 그런데 log()에서 함수를 호출하고 있으므로 에러가 발생한다
'java script' 카테고리의 다른 글
DOM(Document Object Model) (0) | 2021.08.03 |
---|---|
JS에서 객체를 비교하는 방법 (0) | 2021.07.24 |
temporal dead zone (0) | 2021.07.10 |
Event propagation-bubbling, capturing (0) | 2021.06.23 |
어떤 자바스크립트를 사용하고 있는지 알아야한다. (0) | 2021.02.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