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node.js23 util.deprecated(), util.promisify() 1. util util은 각종 편의 기능들을 모아놓은 모듈이다. 그 중 deprecated, promisify가 자주 쓰인다. 2. util.deprecated() 기존 코드를 수정하는 과도기에서 사용된다. 기존에 잘못된 코드가 있을 경우 해당 코드를 함부로 수정하게 되면 그 코드를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의 프로그램이 제대로 동작되지 않는다. util.deprecated()를 사용하게 되면 잘못된 코드는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되 경고를 출력해 문제가 있는 코드임을 알려줄 수 있다. 3. util.promisify() 노드가 콜백에서 promise로 전환되고 있지만 일부 라이브러리의 경우 아직까지 promise를 지원하고 있지 않다. 이때 util.promisity()를 사용해서 콜백을 promise로 사.. 2020. 11. 12. process.nextTick() 콜백이 여러개가 있을때 proces.nextTick(callback)을 사용하면 process.nextTick()으로 감싸진 콜백이 먼저 실행된다. 이는 promise와 같이 process.nextTick()이 마이크로 태스크 큐에서 우선순위를 같기 때문이다. 위 예제에서 볼 수 있듯 process.nextTick()이 먼저 실행된다. proces.nextTick()이 여러개 있는 경우 이들끼리 우선순위가 같기 때문에 위에서 아래 순으로 출력된다. 주의할점: process.nextTick()을 남용하면 다른 콜백들의 실행이 늦어 질 수 있다. 2020. 11. 12. require require의 특성 1. require는 꼭 맨 위에 올 필요가 없다 2. require한 모듈 내부에 있는 변수, 함수를 호출해 사용하지 않아도 될 경우 변수에 할당하지 않아도 된다. const a = require('./b') 대신 require('./b') 가능 3. require.cache에는 이전에 require했던 모듈의 정보가 캐싱되 있어서 이전에 require된 모듈을 반복적으로 require하게 되면 require.cache에서 호출해 시간을 단축시킨다 4. require.main에는 맨 처음 실행한 모듈이 담겨있다 5. js를 node로 실행하면 거의 가 모듈이 된다->require도 모듈이다 순환참조 순환참조가 발생하게 되면 노드는 무한 루프를 방지하기 위해 module.export.. 2020. 11. 11. this 노드에서 1. 함수 내에서의 this는 global을 가리킨다 2. 전역에서의 this는 module.exports를 가리킨다 출력 2020. 11. 11. 이전 1 2 3 4 5 6 다음 728x90